"잊혀진 들판, 흙 한 줌에 담긴 추억: 서미숙 작가의 신작 에세이가 전하는 사라진 고향의 풍경"
대장동 들판의 사계절을 담은 서미숙 작가의 에세이집 '사라지는 들판의 기억'이 지난 5월 8일 전자책으로 출간됐다. 개발로 인해 사라진 들판의 풍경과 그곳에서 보낸 유년 시절의 추억을 생생하게 그려낸 이 책은 단순한 회고록을 넘어 현대인에게 잃어버린 자연과의 교감을 되찾게 한다.
봄의 물소리, 여름의 초록빛 벼, 가을의 황금 들판, 겨울의 고요함까지 계절의 순환 속에서 가족과 이웃들이 함께했던 삶의 모습을 담았다. 우리 모두의 마음속에 있는 '사라진 고향'은 어떤 모습일까?
계절마다 다른 얼굴을 보여주던 대장동 들판의 풍경
봄이 오면 한강 물줄기가 대부둑을 넘어 마른 논을 채우기 시작했다. 이때 어른들은 물꼬를 트고, 아이들은 논두렁을 뛰놀며 새로운 생명의 시작을 느꼈다. "올해도 잘 되겠지"라는 아버지의 한마디는 땅에 건네는 인사와도 같았다.
여름 들판은 짙은 초록으로 물들었다. 벼 잎이 햇살 아래 키를 키우고, 장맛비가 내리면 하늘과 땅의 경계가 흐려졌다. 비에 젖은 벼들이 흔들리며 내는 사각거림은 마치 들판의 자장가 같았다. 아이들은 비 오는 날에도 들판에 나가 숨은 참게를 찾거나 농수로의 잉어를 관찰했다.
가을이 되면 들판은 황금빛으로 변했다. 익어가는 벼 이삭이 바람에 따라 출렁이는 모습은 마치 곱게 빗어놓은 머리카락 같았다. 콤바인 소리는 들판 전체에 울리는 축제의 북소리와도 같았고, 수확 후 마을은 감사의 마음으로 가득 찼다.
겨울 들판은 고요했지만, 생명이 멈춘 것은 아니었다. 눈 덮인 들판 위로 기러기 떼가 내려앉고, 아이들은 볏짚으로 썰매를 만들어 놀았다. 어른들은 마른 짚을 태우며 다가올 봄을 준비했다.
대부둑과 논두렁, 아이들의 학교이자 놀이터
대부둑은 들판으로 들어가는 첫 관문이었다. 봄이 오면 어른들은 물꼬를 트고, 아이들은 장화를 신고 둑 위를 걸었다. 물소리는 마치 오래된 노랫가락처럼 들판을 불렀다. 작가는 아버지와 함께 걸었던 대부둑에서 본 "숨 쉬는 들판"의 의미를 이제야 알게 되었다고 고백한다.
논두렁은 아이들의 놀이터였다. 뻘밭을 맨발로 뛰놀고, 숨은 참게를 찾고, 짚단으로 새총을 만들며 시간을 보냈다. 학교가 끝나면 가방을 던지고 논길로 달려가던 발걸음은 도시의 골목보다 훨씬 자유로웠다. 짚풀은 단순한 마른 식물이 아니라 손끝의 감각으로 엮어내는 놀이이자 동무들 사이에서 전해지는 기술이었다.
사라진 들판, 마음에 남은 기억의 씨앗
이제 그 들판은 사라졌다. 논을 가르던 고랑은 도로로 덮였고, 벼 이랑 대신 콘크리트 기둥이 자라났다. 작가가 사라진 들판을 자꾸 떠올리는 이유는 그곳이 단지 땅이 아니라 누군가의 삶이 자라던 자리였기 때문이다.
이사 가는 날, 작가는 흙 한 줌을 작은 항아리에 담아 새집으로 가져왔다. 비가 내릴 때마다 흙 위에 물 한 방울을 떨어뜨리며 들판과 다시 만난다. 세월은 흘렀지만 그날의 들판은 여전히 작가 안에 있다.
이 책은 작가 자신의 이야기이자 우리 모두의 이야기다. 흙을 밟고 자연과 함께 숨 쉬던 나날은 이제 사진 한 장, 기억 한 줄로 남았지만 그 조각들은 마음 깊은 곳에서 피어오른다. 기억은 시간을 이기며, 사람의 마음에 심긴 들판은 비가 오면 싹이 트고 햇살이 비치면 다시 자라난다. 우리는 각자의 마음속에 있는 '사라진 들판'을 찾아 그 씨앗을 다시 심어볼 수 있지 않을까?
“심장이 춤춘다?”: 생명을 위협하는 불규칙한 심장 박동, 심실 부정맥의 모든 것
'세상엿보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리 함께 선행을": 남양주진건 로타리클럽, 새로운 리더십으로 지역사회 봉사의 새 지평을 열다 (2) | 2025.05.18 |
---|---|
멈춰선 의료 시스템, 의사들은 대선 후보 공약에 "이렇게" 평가했다 (7) | 2025.05.16 |
올여름 폭염 대비, 저소득층 에너지효율개선사업으로 냉방비 부담 덜어내세요 (2) | 2025.05.15 |
"당신의 한마디가 평생 기억됩니다" 오늘 스승의 날, 감사 표현 방법과 숨겨진 의미, 교육청 스승조회 서비스가 있다? (1) | 2025.05.15 |
"수술비 걱정 덜어드립니다" 재난적 의료비 지원 사업, 신청 조건 및 방법 완벽 분석 (2) | 2025.05.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