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 10만원만 저축해도 최대 1,440만원! 청년내일저축계좌 신청 마감 임박, 놓치면 후회할 혜택 총정리
청년 자산형성을 위한 정부의 강력한 지원책 '청년내일저축계좌'가 5월 21일(수) 신청 마감을 앞두고 있다. 저소득 청년이 매월 10만원만 저축해도 정부가 최대 30만원을 추가 지원하는 이 제도는 3년 만기 시 최대 1,440만원의 목돈을 마련할 수 있는 절호의 기회다. 특히 2025년에는 근로소득 기준이 완화되어 더 많은 청년들이 혜택을 받을 수 있게 됐다.
어떤 조건을 갖추면 가입할 수 있고, 얼마나 많은 혜택을 받을 수 있는지 자세히 알아보자. 서두르지 않으면 1년을 더 기다려야 하는 이 기회, 과연 당신의 자격 조건은 충족될까?
청년내일저축계좌란? 저축액의 최대 3배를 돌려받는 '마법의 통장'
청년내일저축계좌는 근로·사업소득이 있는 저소득 청년이 3년간 매월 일정 금액을 저축하면 정부가 매칭 지원금을 추가로 적립해주는 자산형성 지원사업이다. 단순한 저축을 넘어 청년의 자립과 미래 설계를 위한 중요한 발판이 되는 제도다.
이 계좌는 하나은행에서만 취급하며, 3년 만기 동안 모인 가입자 납입금과 정부 지원금을 모두 합쳐 연 2.00%의 기본금리가 적용된다. 우대금리를 합산한 최고금리는 연 5.00%까지 가능하다. 특히 일반 은행 적금 상품과 달리 비과세 상품으로, 이자에 대한 세금(15.4%)을 내지 않아도 된다.
누가 받을 수 있나? 가입 자격 조건 총정리
청년내일저축계좌의 가입 자격은 크게 연령, 소득, 재산 조건으로 나뉜다.
1. 연령 조건
- 일반: 신청 당시 만 19세~34세
- 기초생활수급자 및 차상위계층: 만 15세~39세
2. 소득 조건
- 본인 근로·사업소득: 월 50만원 초과~250만원 이하
- 기초생활수급자 및 차상위계층: 월 10만원 이상
- 가구소득: 기준 중위소득 100% 이하
예를 들어, 부모와 함께 사는 4인 가구의 청년이라면 월 가구 소득 409만7773원 이하, 본인 소득 월 250만원 이하 조건을 충족해야 가입할 수 있다.
얼마나 받을 수 있나? 소득별 지원금액 차이
청년내일저축계좌를 통해 받을 수 있는 지원 내용은 소득 구간에 따라 달라진다:
1. 차상위 이하(기준 중위소득 50% 이하)
- 정부 지원금: 매월 30만원 고정
- 3년 만기 시 총액: 1,440만원 + 이자 (본인 저축 360만원 + 정부 지원 1,080만원)
2. 차상위 초과(기준 중위소득 50%~100%)
- 정부 지원금: 매월 10만원 고정
- 3년 만기 시 총액: 720만원 + 이자 (본인 저축 360만원 + 정부 지원 360만원)
실제 혜택 사례로 알아보는 '내 상황별 받을 수 있는 금액'
사례 1: 중위소득 50%~100% 구간의 1인 가구
월 180만원을 버는 1인 가구 A씨가 매달 10만원씩 저축할 경우:
- 정부 지원금: 매월 10만원
- 3년 만기 시 원금: 720만원
- 은행 이자 포함 최종 수령액: 약 734만4000원
사례 2: 중위소득 50% 이하의 3인 가구
부모와 함께 살며 월 230만원을 버는 B씨(3인 가구 중위소득 502만5353원의 절반 미만)의 경우:
- 정부 지원금: 매월 30만원
- 3년 만기 시 원금: 1,440만원
- 은행 최고 금리 적용 시 최종 수령액: 약 1,512만원
놓치기 쉬운 추가 혜택과 유의사항
가입자가 생계 수급 가구에 속하거나, 가입 기간 중 생계 수급 가구에서 벗어난 경우, 자활근로사업단에 참가하는 경우 등은 추가 장려금을 받을 수 있다.
단, 가입 후에도 근로 활동을 지속해야 하며, 근로 활동을 하지 않는다는 사실이 확인되면 정부 지원금은 환수된다. 또한 매월 10만원 이상 저축해야 하며, 10시간의 자립 역량 교육 등을 이수해야 정부 지원금을 받을 수 있다.
서류 제출 시 꼭 알아두어야 할 주의사항
제출 서류는 자산형성지원사업 신청자 가구의 근로·사업소득, 소득인정액 확인 및 심사를 위한 자료다. 서류가 미비할 경우 지원 대상에서 제외될 수 있으므로 반드시 기한 내에 제출해야 한다.
특히 신청 마감일인 5월 21일(수) 23시 59분 59초까지 '제출하기 버튼'을 클릭한 신청서만 접수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예를 들어, 5월 21일(수) 23시에 로그인하여 5월 22일(목) 00시 5분에 제출할 경우, 신청서는 접수되지 않는다.
어떻게 신청하나? 온라인 vs 오프라인 신청 방법
1. 온라인 신청
- 신청 기간: 2025년 5월 2일(금) ~ 5월 21일(수)
- 신청 방법: 복지로 포털(www.bokjiro.go.kr)에서 신청
2. 오프라인 신청
- 신청 기간: 2025년 5월 2일(금) ~ 5월 21일(수)
- 신청 방법: 주소지 관할 읍면동 행정복지센터 방문 신청
신청부터 수령까지의 전체 일정
신청 후에는 약 3개월 동안 가입 자격 심사가 이루어지며, 8월 1일부터 14일 중으로 가입 가능 여부가 신청자에게 개별 통보될 예정이다.
더 궁금한 점이 있다면?
- 자산형성지원 콜센터: ☎ 1522-3690
- 보건복지상담센터: ☎ 129
- 복지로 홈페이지 및 전국 읍·면·동 주민센터를 통해서도 추가 문의가 가능하다.
청년내일저축계좌는 청년 자산형성을 위한 마중물로, 주거 안정, 교육, 창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 자립 기반을 마련할 수 있는 소중한 기회다. 지금 당장 내 자격 요건을 확인하고, 5월 21일 이전에 신청을 완료하자. 지금 놓치면 1년을 더 기다려야 한다.
젊을수록 예후가 좋은 암이 있다? 갑상선암에 대한 오해와 진실 – 민병원 김종민 병원장 집중 인터뷰
2025.04.27 - [재미난 유튜브 추천하다] - 몸으로 말하는 도시, 2025 춘천마임축제 '몸풍경' 개최
'세상엿보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술비 걱정 덜어드립니다" 재난적 의료비 지원 사업, 신청 조건 및 방법 완벽 분석 (2) | 2025.05.15 |
---|---|
응급실 칼부림, 의협 "무관용 강력 처벌" 촉구...끊이지 않는 의료기관 내 폭력, 해법은 없나 (1) | 2025.05.14 |
무시무시한 탈장, 그냥 두면 장이 썩는다? 증상부터 치료까지 완벽 가이드 (1) | 2025.05.12 |
"‘보건부 신설해야 하나요?’…의협, 대선 앞두고 ‘미래 의료 대개혁안’ 제시" (7) | 2025.05.10 |
끝나지 않는 갈등의 골짜기: 인도-파키스탄 분쟁의 역사 집중 조명 (5) | 2025.05.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