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재미난 유튜브 추천하다

시간과 공간, 과학이 밝히는 본질

728x90
반응형

시간과 공간, 과학이 밝히는 본질

- 상대성이론과 양자역학이 설명하는 시공간의 개념 -


시간은 실재하는가, 혹은 인간이 만든 허상인가

물리학에서 시간은 하나의 중요한 개념이지만, 과연 실제로 존재하는 것인지 아니면 인간이 만든 개념인지에 대한 논의는 계속되고 있다.
고려대학교 물리학과 최은미 교수는 "시간이 허상이라는 가설은 우리가 시간을 직접 볼 수 없기 때문"이라고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우리는 나뭇잎이 떨어지거나 머리카락이 세는 등의 변화를 통해 시간이 흐른다고 느낀다.
그러나 이것은 어디까지나 간접적인 관찰일 뿐, 시간이 실제로 존재한다는 직접적인 증거는 아니다.

시간이 실제로 존재하는지에 대한 논쟁은 상대성이론과 양자역학에서 각각 다른 방식으로 다루어진다.
특히 상대성이론에서는 시간과 공간이 동일한 차원에서 다뤄지는 반면, 양자역학에서는 시간이 측정 대상이 아니라 변수로 간주된다.
이러한 차이점이 시공간의 본질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한다.


상대성이론에서의 시간과 공간, 동일한 차원에서 취급되다

아인슈타인의 상대성이론에 따르면, 시간과 공간은 별개의 개념이 아니다.
상대성이론에서는 공간(x, y, z)과 시간을 하나의 연속체로 묶어 4차원 시공간으로 표현한다.
이때, 시간(t)에 광속(c)을 곱하여 ct라는 새로운 축을 만들면, 이는 공간 좌표들과 동일하게 취급될 수 있다.

이러한 개념은 상대성이론의 수식이 보다 간결하고 아름답게 표현될 수 있도록 해준다.
그러나 현실에서 우리가 체감하는 공간과 시간은 다르게 느껴진다.
공간은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 반면, 시간은 과거에서 미래로만 흐른다.
이는 물리학적으로 어떻게 설명될 수 있을까?


시간이 한 방향으로 흐르는 이유: 엔트로피 증가 법칙

시간이 과거에서 미래로만 흐르는 이유를 설명하는 대표적인 이론이 열역학 제2법칙이다.
열역학에서는 엔트로피(무질서도)가 항상 증가하는 방향으로 진행한다고 본다.
이를 쉽게 이해하기 위해 잉크 한 방울을 물에 떨어뜨리는 상황을 생각해 보자.
처음에는 한 곳에 집중되어 있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물 전체에 퍼지게 된다.
반대로 퍼져 있던 잉크가 저절로 한 점으로 다시 모이는 일은 일어나지 않는다.
이처럼 우주의 엔트로피가 증가하는 방향으로만 진행되기 때문에, 시간 역시 한 방향으로 흐른다고 볼 수 있다.


양자역학에서의 시간: 측정할 수 없는 변수

양자역학에서는 시간과 공간이 상대성이론과 다르게 취급된다.
공간은 측정 가능한 값이지만, 시간은 직접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개념이 아니다.
양자역학에서는 '측정'이라는 행위가 중요한 의미를 갖는데, 관측이 이루어지면 입자의 상태가 확정되지만,
한 번 측정된 상태가 스스로 되돌아가는 일은 없다.
이러한 비가역성(irreversibility) 또한 시간이 한 방향으로 흐르는 이유 중 하나로 제시된다.

양자역학에서는 특정 입자의 위치(x)를 측정하면 운동량(p)의 측정 정밀도가 낮아지는 '불확정성 원리'가 존재한다.
그러나 시간에 대해서는 이러한 개념이 적용되지 않는다.
즉, 시간은 하나의 독립적인 변수로 설정될 뿐, 우리가 직접 측정할 수 있는 물리량은 아니라는 점이 상대성이론과의 차이점이다.


빛의 속도로 움직이면 시간이 멈춘다?

상대성이론에 따르면, 물체의 속도가 빨라질수록 시간이 느리게 흐른다.
이를 극단적으로 적용하면, 광속으로 움직이는 경우 시간이 완전히 멈추게 된다.
즉, 광속으로 이동하는 입자에게는 과거, 현재, 미래가 동시에 존재하는 것과 마찬가지다.

이는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쌍둥이 역설'로도 설명할 수 있다.
한 명은 지구에 남아 있고, 다른 한 명이 광속에 가까운 속도로 우주여행을 하고 돌아온다면,
우주여행을 다녀온 사람은 지구에 남아 있던 사람보다 훨씬 적게 나이를 먹게 된다.
이러한 상대론적 효과는 실험적으로도 검증된 바 있다.


다차원 이론과 시간의 본질

현재의 물리학에서는 시공간을 4차원으로 설명하지만, 일부 이론에서는 10차원 이상의 다차원 공간을 가정하기도 한다.
초끈이론(String Theory)이나 브레인우주(Brane Universe) 모델에서는 우리가 관측할 수 없는 추가 차원이 존재한다고 본다.
이러한 고차원 공간에서는 시간조차도 우리가 알고 있는 방식과는 다르게 흐를 가능성이 있다.

일부 연구자들은 우리가 4차원 시공간에 국한되어 있기 때문에 시간을 일정하게 느낄 뿐,
실제 다차원 공간에서는 시간의 개념이 달라질 수 있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이론들이 실험적으로 검증될 경우, 시간에 대한 기존의 개념이 완전히 뒤바뀔 가능성도 있다.


3체 문제: 중력과 예측 불가능성

과학자들은 다체 문제(N-body problem)로 알려진 물리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도 시간과 공간의 복잡한 상호작용을 연구해왔다.
특히 3체 문제(Three-Body Problem)는 물리학에서 가장 난해한 문제 중 하나로 꼽힌다.
이 문제는 중력이 작용하는 세 개의 물체가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며 운동할 때,
그들의 움직임을 예측하는 것이 극도로 어렵다는 점에서 출발한다.

소설 『삼체(三体)』에서도 이 문제를 다루고 있다.
이 작품에서 등장하는 외계 문명은 세 개의 태양이 존재하는 불규칙한 환경에서 생존해야 하는 상황에 처해 있다.
3체 문제는 혼돈(카오스)이 발생하는 대표적인 사례로, 초기 조건이 아주 작은 차이를 보이더라도 결과가 완전히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3체 문제를 완벽하게 해결하는 것은 불가능하며, 근사 해를 찾는 것이 유일한 방법이다.


과학이 밝혀낼 시간의 비밀은?

시간이 실제로 존재하는지, 단순한 개념적 도구에 불과한지는 여전히 풀리지 않은 물음이다.
상대성이론과 양자역학이 시간과 공간을 다르게 바라보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미래의 과학이 시간의 본질을 더 깊이 밝혀낸다면,
현재 우리가 알고 있는 시간 개념이 완전히 바뀔 수도 있다.

반응형

 

[본 기사내용은 유튜브상 다른 유튜버 분들이 제작하신 유튜브 동영상 중 독자들이 관심을 갖을 만한 흥미로운 내용을 발췌, 요약, 정리한 내용임을 알려드립니다. 아래에 발췌한 유튜브 동영상을 올려드립니다.]

 

물리학자가 시간을 믿지 않는 이유(처음부터 존재하지 않았다..?) - YouTube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