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재미난 유튜브 추천하다

빨간 엉덩이 개미: 열대우림의 놀라운 기생 현상

728x90
반응형

빨간 엉덩이 개미: 열대우림의 놀라운 기생 현상

파나마 열대우림에서 발견된 독특한 기생충과 개미의 공존 관계

콜로라도 섬의 생태계가 간직한 신비로운 생존 전략이 밝혀졌다. 파나마 열대우림 지역에서 발견된 특이한 '빨간 엉덩이' 개미와 기생충의 복잡한 공생 관계는 자연의 놀라운 적응 능력을 보여주는 사례로 주목받고 있다.

개미
개미

열대 생태계의 보고, 콜로라도 섬에서 발견된 수많은 개미 종류

파나마의 자연보호구역인 콜로라도 섬은 다양한 동식물이 서식하는 거대한 열대 생태 박물관이다. 이곳에서 가장 쉽게 관찰할 수 있는 생물은 개미다. 잎 개미, 군대 개미, 흰개미 등 수많은 종류의 개미들이 섬 전체를 뒤덮고 있다. 망고 모양으로 생긴 흰개미 집은 시간이 지나면 다른 생물들의 거주지가 되는데, 이는 열대 숲에서 모든 생물이 서로의 자원을 공유하는 생태계의 특성을 보여준다.

미국 루이빌 대학 생물학과의 노비아 교수는 매일 이 열대 숲을 탐험하며 독특한 개미 종을 연구한다. 특히 나무 위에 사는 개미를 관찰하기 위해 암벽 등반 장비를 동원해 고공 작업을 마다하지 않는다. 노비아 교수에 따르면 "이 숲 전체에는 지상과 낙엽층에 사는 개미가 약 400~500종 정도 서식하며, 그중 수관층에 사는 개미는 전체의 약 40%를 차지한다"고 한다.

레드베리 개미로 불리는 세팔로스 아트라스 개미의 특별한 생태적 특성

노비아 교수가 6년 전 특별히 주목한 개미는 '세팔로스 아트라스'라는 이름의 개미다. 중남미 지역에 분포하는 이 개미는 주로 죽은 나무나 새의 배설물을 먹고 살며, 주 서식지는 높은 나무 위다. 이 개미가 특별한 관심을 받게 된 이유는 바로 선명한 빨간색 엉덩이 때문이다. 이 빨간 엉덩이가 레드베리(붉은 열매)와 비슷하게 생겼다고 해서 '레드베리 개미'라는 별명이 붙었다.

세팔로스 아트라스 개미의 가장 큰 특징은 다루기 쉽다는 점이다. 노비아 교수는 "이 개미는 쏘지 않고 딱딱한 몸체를 가지고 있어 쉽게 잡아 관찰할 수 있어 연구하기 좋은 종"이라고 설명한다. 또한 이 개미는 다양한 수종에서 발견되는 특성도 가지고 있다.

개미의 엉덩이를 빨갛게 만드는 메르메코네마 네오트로피컬 기생충의 생활사

이 개미의 빨간 엉덩이는 자연적인 것이 아니라 '메르메코네마 네오트로피컬'이라는 기생충에 의한 현상이다. 이 기생충의 생활사는 새의 배설물에서 시작된다. 세팔로스 아트라스 개미는 새의 배설물을 먹이로 삼는데, 이 배설물 속에는 소화가 덜 된 곤충과 함께 기생충의 알이 포함되어 있다.

개미가 배설물을 먹으면 기생충의 알은 개미 유충의 먹이가 된다. 유충이 성장하는 동안 수컷과 암컷 선충은 개미의 배 부분으로 이동한다. 개미 유충이 자라 성체가 되어도 기생충에 감염된 개미는 외관상으로는 건강한 개미와 구별이 되지 않는다.

꼭두각시
꼭두각시

숙주 조작으로 생존율을 높이는 기생충의 놀라운 전략

기생충의 진정한 전략은 개미가 성체가 된 후에 드러난다. 기생충 중 수컷은 짝짓기 후 분해되어 사라지지만, 암컷은 알을 낳아 개미의 복부를 선충의 알로 가득 채운다. 이때부터 개미의 엉덩이 색이 변하기 시작한다. 기생충 알들이 성장함에 따라 개미의 뱃속은 옅은 호박색의 알로 가득 차게 되고, 엉덩이는 새들이 좋아하는 빨간 과일과 유사한 색으로 변화한다.

더 놀라운 것은 기생충이 개미의 행동까지 조작한다는 점이다. 감염된 개미는 일반적인 행동 패턴과 달리 엉덩이를 높이 쳐들게 되는데, 이는 새들의 눈에 더 잘 띄게 하기 위한 전략이다. 이렇게 함으로써 새가 개미를 먹을 가능성을 높이고, 결과적으로 기생충이 새의 소화기관으로 이동할 기회를 증가시킨다.

생태계의 숨은 지배자, 기생충이 만드는 열대우림의 질서

새들은 감염된 개미를 먹고 다시 배설을 통해 기생충의 알을 환경에 방출한다. 이렇게 배설된 기생충의 알은 다시 다른 개미들에게 감염되어 생활사를 반복한다. 파나마 정글의 다양한 생물들 사이에서 이러한 기생충은 눈에 보이지 않는 생태계의 질서를 유지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기생충 메르메코네마 네오트로피컬의 유전자에는 파나마 정글의 먹이사슬을 이용한 정교한 생존 프로그램이 내장되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 기생충은 새에게는 무해하며, 새가 나무에 배설함으로써 다시 다른 개미에게 전파될 수 있는 순환 구조를 완성한다.

수많은 동식물이 어울려 사는 콜로라도 섬에서 기생충은 자연 생태계의 복잡한 구조를 유지하는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우리 눈에는 보이지 않지만, 숲속의 질서를 지배하는 한 축이 바로 이러한 기생충이다.

반응형

[본 기사내용은 유튜브상 다른 유튜버 분들이 제작하신 유튜브 동영상 중 독자들이 관심을 갖을 만한 흥미로운 내용을 발췌, 요약, 정리한 내용임을 알려드립니다. 아래에 발췌한 유튜브 동영상을 올려드립니다.]

 

 

기생충은 왜 개미의 엉덩이를 빨갛게 만들었을까? 🐜 기생충에 감염된 개미의 엉덩이 | 열대 밀림의 개미들 | 기생 | 다큐프라임 - YouTube

 

더뉴스메디칼 추천기사

 

진찰하지 않은 환자 사망진단서 발급 의사, 항소심서도 무죄

 

진찰하지 않은 환자 사망진단서 발급 의사, 항소심서도 무죄 | 더뉴스메디칼

진찰하지 않은 환자 사망진단서 발급 의사, 의료법 위반 혐의 벗어. 대전의 한 대학병원 의사가 직접 진찰하지 않은 환자의 영문 사망진단서를 발급해 의료법 위반 혐의로 기소됐으나, 1심에 이

thenewsmedical.co.kr

 

갱년기 호르몬 불균형, 방치하면? 호르몬 치료, 득일까 독일까?

 

갱년기 호르몬 불균형, 방치하면? 호르몬 치료, 득일까 독일까? | 더뉴스메디칼

갱년기 호르몬 불균형, 여성 건강의 전환점, 갱년기… 호르몬 변화와 그 영향. 여성의 삶에서 사춘기, 임신과 출산만큼이나 중요한 전환점이 바로 갱년기다. 나이가 들면서 난소 기능이 자연스

thenewsmedical.co.kr

 

728x90
반응형